작성일 : 20-02-27 17:31
고사성어 공부 10차시
 글쓴이 : 최고관리자
조회 : 1,524  
◈ 伯牙絶絃(백아절현)
  ≡ 자기를 알아주는 참다운 벗의 죽음에 슬퍼하며 거문고 줄을 끊다.
  ≪伯 맏  백,  牙 어금니 아,  絶 끊을 절,  絃 줄  현≫

『伯牙善鼓琴하고 鐘子期善聽하다 伯牙鼓琴에 志在高山이면 子期曰 善哉峨峨乎若泰山하고 志在流水면 子期曰 善在洋洋兮若江河하다 鐘子期死하니 伯牙破琴絶絃하고 終身不復鼓琴하니 以爲無足爲鼓者니라』

<백아는 거문고를 잘 타고 종자기는 거문고 소리를 잘 들었다. 백아가 거문고를 탈 때에 뜻이 높은 산에 있으면, 자기는 '좋구나! 높이 솟음이 태산과 같구나'라고 말했고, 뜻이 흐르는 물에 있거든 자기는 '좋구나! 넓고 넓어 장강과 황화와 같구나'라고 말했다. 종자기가 죽자 백아는 거문고를 깨트려 줄을 끊어버리고 나서 종신토록 다시는 거문고를 타지 않았으니 거문고를 타기에는 족함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한(李澣)」이 지은 "몽구(蒙求)"에 나온 이야기다.
  백아가 거문고를 탈 때에 그의 뜻이 산에 있으면 종자기는 '좋구나 산의 높음이 태산과 같음이여!'라고 했고, 그의 뜻이 물에 있으면 '좋구나 물의 넓음이 강하와 같구나!'라고 했다. 종자기는 거문고를 타고 있던 백아의 뜻을 모두 알아차렸다는 이야기다. 참다운 벗은 대화가 필요 없다. 마음으로 느끼고 마음으로 스치면 족할 뿐이다.
  백아와 종자기는 그런 사람이었다. 백아는 춘추전국시대의 거문고의 명인이었고, 종자기는 춘추전국시대 초나라의 이름난 음악가였다. 지기지우(知己之友)라고 했다. 백아와 종자기는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에 대하여 진정한 벗임을 알고 있었다. 학문적인 이념과 뜻이 같으면 '동지(同志)'라 표현한다. 학문을 비롯해서 생활과 취미 등 모든 분야에서 자기를 진정으로 알아주는 사람과 벗이 된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금란지교(金蘭之交)와도 통하는 진정한 벗이 요구된다는 가르침이다.
--<본문한자 익히기>--- 
伯(맏 백) 牙(어금니 아) 鼓(칠 고) 善(착할/잘할 선) 峨(높을 아) 洋(넓을 양) 所念(생각한 바)
破(깨트릴 파) 以爲(∼이라고 생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