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0-02-27 17:23
쉽게푸는 이달의 24절기 = 청명, 곡우 ▶ 04월
 글쓴이 : 최고관리자
조회 : 1,667  
淸 明(청 명)    ≪양:4월 4일경·음:3월 초순≫
  淸(청)은 흘러가는 물(水)이 푸르러서(靑) 깨끗하고 '맑다'는 뜻의 글자이고, 明(명)은 빛을 발하는 해(日)와 달(月)이 서로 어울려져서 세상이 온통 '밝다'는 뜻의 글자다. 그래서 淸明(청명)은 날씨가 밝고 맑음을 나타낸다는 뜻으로 쓰인 절기다.
  '淸明'은 춘분과 곡우 사이에 들며 양력 4월 4일경이다. 태양의 황경이 0도에서 다시 돌아가 15도의 위치에 있을 때다. 보통 植木日(식목일)과 겹쳐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날은 寒食(한식)의 하루 전날이거나 때로는 같은 날이 될 때도 있다. 대부분 농가에서는 청명을 기하여서 봄일을 시작하므로 이날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동국세시기에는 대궐에서 느릅나무와 버드나무에 불을 일으켜 각 관청에 나누었는데 이것은 중국 주나라이래 예로부터 행하던 제도라고 되어 있다. 寒食(한식)의 풍속을 고대의 종교적 의미로 해석하여 해마다 봄에 新火(신화)를 만들어 舊火(구화)를 금지하던 예속에서 나온 것이라는 기록이 있다. 청명을 기하여 농기계도 살펴보고 논과 밭둑도 손질해야겠다.
  淸明을 5일씩 三候(삼후)로 나누어 初候(초후)에는 오동나무가 비로소 꽃피고, 中候(중후)에는 밭에 쥐가 메추리기가 화하고 모란꽃이 피며, 末候(말후)에는 무지개가 비로소 나타나는 계절이라고 했다. 오동나무 꽃이 피고 무지개가 나타남은 새로운 봄의 시작이다.
  ▷淸明의 三候는 初候桐始華하고 中候田鼠化爲?하며 末候虹始見이라◁
《한자공부⇒桐:오동동· 華:꽃 화· 鼠:쥐 서· ?:메추라기 여· 虹:무지개 홍》
<淸明>의 漢字 낱말이 다르게 쓰이는 생활용어는「淸貧」(청빈),「肅淸」(숙청)을 비롯해서「明朗」(명랑),「賢明」(현명) 등이 있다. 자전과 국어사전을 활용하여 다르게 쓰인 파생 漢字語와 낱말뜻을 찾아보고 그 쓰임을 알아 조어력(造語力)을 향상하자.


穀 雨(곡 우)  ≪양:4월 20일경·음:3월 하순≫
  穀(곡)은 껍질을 쓰고 있는 낱알인 '곡식'을 뜻한 글자이고, 雨(우)는 하늘에서 비가 내리는 모양을 가리켜서 '비'를 뜻한 글자다. 그래서 穀雨(곡우)는 온갖 곡식들이 잘 자라기 위해 촉촉이 온 대지에 비가 내린다는 뜻으로 쓰인 절기다.
  '穀雨'는 청명과 입하 사이에 들며 양력 4월 20일경이다. 태양의 황경이 30도의 위치에 있을 때다. 이 때부터 농촌에서는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된다. 곡우 때쯤 되면 봄비가 잘 내리고 百穀(백곡:모든 곡식)이 윤택해 진다. 그래서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라고 했으니 결국 그 해 농사를 망친다는 뜻이겠다. 곡우 무렵에는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만들고 볍씨를 담갔다. 이 때에는 나무에 물이 많이 오른다. 지리산의 "거자수" 물은 특히 유명하다. 驚蟄(경칩) 무렵에 나오는 "고로쇠" 나무 물은 여자 물이라 하여 남자들에게 좋다고 하며, "거자수"는 남자 물이라 하여 여자들이 많이 애용했다. 나무에 물이 오르고 볍씨가 뿌려지는 절기에 즈음하여 자신의 건강도 한번쯤 점검해봐야겠다.
  穀雨를 5일씩 三候(삼후)로 나누어 初候(초후)에는 부평초가 비로소 나오고, 中候(중후)에는 비둘기가 울면서 그 깃을 털며, 末候(말후)에는 戴勝(대승:뻐꾸기)이 뽕나무에 내리는 계절이라고 했다. 부평초·비둘기·뻐꾸기가 깃을 털고 나오면서 약동함이다.
  ▷穀雨의 三候는 初候萍始生하고 中候鳴鳩拂其羽하며 末候戴勝降於桑이라◁
《한자공부⇒萍:개구리밥평·鳩:비둘기구·拂:떨칠불·羽:깃 우·戴:일 대·桑:뽕나무상》
<穀雨>의 漢字 낱말이 다르게 쓰이는 생활용어는「穀食」(곡식),「糧穀」(양곡)을 비롯해서「雨中」(우중),「暴雨」(폭우) 등이 있다. 자전과 국어사전을 활용하여 다르게 쓰인 파생 漢字語와 낱말뜻을 찾아보고 그 쓰임을 알아 조어력(造語力)을 향상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