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0-02-27 16:47
명심보감 공부 18차시
|
|
글쓴이 :
최고관리자
조회 : 1,448
|
◐ 太公이 曰 孝於親이면 子亦孝之하나니 身旣不孝면 子何孝焉이리오
▷ 강태공이 말하였다. “어버이에게 효도하면 자식 또한 효도할 것이고, 자신이 이미 불효했다면 자식이 어찌 효도하겠는가?”
<한자학습>
身(몸 신), 旣(이미 기), 何(어찌 하), 焉(어조사 언)
<삶의 교훈>
◇ 이심전심(以心傳心)이라고 했다. 자식은 부모 마음을 닮고, 자식은 부모의 마음을 전수 받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내가 부모님께 효도하면 자식도 나에게 효도하는 것은 마음이 닮기 때문이오, 나의 효도하는 행위를 보고 그대로 전수하여 알고 있기 때문이리라. 내가 어버이에게 효도하면 자식 또한 효도하니 자신이 이미 불효를 행했다면 자식은 효도치 않을 것이다. 효도하는 집안에서는 효자가 태어나는 것이니 자신부터 효도해야 된다는 궁행(躬行) 실천을 강조한 가르침이다.
♣♣♣♣♣♣♣♣♣♣♣♣♣♣♣♣♣♣♣♣♣♣♣♣♣♣♣♣♣♣♣♣♣♣♣♣♣♣♣♣♣♣♣♣♣♣♣♣♣
{명심보감}은 우리 선조들이 초급 제2과정으로 널리 익혔던 교재다. {명심보감(明心寶鑑)}은 글자 그대로 [마음을 밝혀서 거울로 삼아야 할 보배로운 교재]라는 뜻에서 보이듯이 구절구절이 심성과 행동거지에 주의해야 할 인성교육의 요체를 다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 선조들은 {명심보감}을 이른바 <초급 승진과정 교재>로 읽기를 권장했다. 율곡 이이(李 珥) 선생은 명심보감의 내용을 높이 칭찬하면서 서문(序文)과 발문(跋文)을 이어서 썼고, 영조대왕께서도 친히 어제서문(御製序文)을 써서 널리 읽기를 권장했던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 때 {명심보감}의 인기는 가히 폭발적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겠다.
한 때 {명심보감}의 저자를 중국인으로 잘못 알려진 문헌이 있었으나, 최근 속속 밝혀진 바에 의하면 고려말 때 우리의 선현인 [추적(秋適) 선생]으로 알려진다. [추적(秋適)] 원본(혹은 진본이라고 함)이후 증보본이 많이 나와 시대가 요구하는 내용을 학동들에게 익히게 했다. {명심보감}의 발간은 '청주본'이 비교적 정본(正本)이자 오래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바, 지금 전해지는 20편보다 편수가 훨씬 적었다.
본란에서 {명심보감}을 알기쉽게 풀이한 [원문. 해설. 삶의 교훈]을 일주일에 한 편씩 싣는 이 한 구절만이라도 바르게 익힌다면 한자한문공부는 물론 인성교육의 측면에서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특히 [삶의 교훈]은 많은 이들의 뜨거운 격려로 이어져 관리자가 특히 신경쓰고 있는 부분이다. 읽는 이들의 뜨거운 격려와 성원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
|